Tag Archives: 교육

의과대학에서의 해부학교육-교수편

어제 어떤 임상교수와 이야기를 하던 중 이런 말을 꺼낸다. “해부학을 임상교수들이 자기 분야를 가르치면 학생들이 훨씬 더 재미있게 배울텐데…” 말이 떨어지게 무섭게 “아니요. 잘못 판단거예요.”라고 단호하게 말을 했다. 의전원이 시작되었을 때 그렇게 시도를 해 본적이 있다. 결과는 “실패”였다. 자신의 전공분야와 맞추어 해부학을 강의하는 강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해부학을 배우는 학생들(본1 또는 예2)의 입장에서 말그대로 “맨바닥에 헤딩”을 하는 단계이다.… Read More »

우리 부모세대들은..

우리의 부모세대들은 우리들에게 어떻게 세상을 살아야하는지에 대하여 늘 가르치셨다. 물론 세상에서의 성공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계셨지만, 세상을 늘 바르고 정직하게 살아야하는 것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그리고 ‘공의’에 대하여 늘 가르치셨다. 단한번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성공해야 한다.”라는 말이나 생각을 단한번도 하신 적이 없으셨다. 남의 것을 취하거나 빼앗는 것에 대하여서는 더욱 엄격하셨다. 가난했던 나라에서 나고 자라나고 사셨는 우리 부모들의 세대들은… Read More »

“아직도 기대를 하세요?”

오전에 어떤 교수와 대화를 하던 중에 이런 말을 내던진다. “교수님은 아직도 기대를 하세요?” 맞다. 이 시대가 이렇더라도 사람에 대한 기대감은 버릴 수 없다. 다수에게 기대를 하긴 힘들지만, 소수에게라도 기대감을 갖고 있다. 사회를 움직이는 것은 결국 그 소수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어제 페이스북에 글 하나를 남겨놨는데, 같은 관점의 대화를 나눈 것이다.(페이스북에 올리는 모든 글은 감춘글로 해두고 있는 시점이다.) 나는 인간이… Read More »

누가 가르치냐가 중요한게 아니고,

인체미세구조와기능(조직학+생리학 각론)에 대한 회의를 마치고 연구실에 와서 몇자 적어둔다. 원래부터 회의는 회의적(?)인가? 의대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누가 가르치냐?가 아니고, 무엇을 가르치냐?” 이것을 놓치면 안된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먼저 정하라. 그리고 그것을 누가 가르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게 바뀌면 안된다. 절대로. 그러니깐 “명확한 교육목표(학습목표)”가 정해져야 한다. 학습목표가 명확하면 그 다음 문제는 문제가 되질 않는다. 그런데… Read More »

“총론(總論)”

내 블로그에 총론에 대한 글이 몇개 보인다. 총론(總論)과 각론(各論), 2018년 수업에서 “총론”의 중요성, 2017년 발생학 총론, 2015년 나는 해부학 총론 첫시간과 신경해부학 총론, 발생학총론을 강의해 왔다. 내년에는 조직학총론까지 맡았다. 해부학관련 모든 수업의 총론을 강의하는 것이다. 총론에 대하여 자주 언급하는 이유는 총론의 중요성에 비해 학생들의 민감도는 떨어지기 때문이다. 2018년에 썼던 글에서 일부를 다시 발췌해 본다. 총론 수업은 앞으로 이루어질… Read More »

교육은 실험이 아니다

토요일 아침이다. 어제 해부실습의 조별라운딩을 해보면서 학생들에게 충분히 도움이 될, 그러니까 인체의 구조를 다양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되었다. 그러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 시도한 조별라운딩은 실험적 교육은 아니다라는 생각이다. 검증되지 않은 무모한 실험적 교육방식은 절대로 아니다. 그동안 강제(?)하지 않았던 다른 조의 실습상황을 관찰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한 것이다. 교육의 방식은 오랜시간동안 잘… Read More »

교육에서의 오류가능성

완전하지 못한 인간의 삶에서는 어디서나 오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교육현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더구나 학문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어제 오후에 수업을 시작하며 “가르치는 과정에서의 오류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언급했다. 갈수록 이런 오류의 가능성에 대한 염려가 커진다. 그것이 늙어가는 반증이기도 한다고 생각하지만, 교육자로서 이런 부분을 고민하지 않는다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가르치는 과정에서의 오류발생 가능성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나의… Read More »

교육은 어렵다

“교육은 어렵다.” 가르치는 것이 어렵다는 뜻이 아니다. 교육이라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성인이 된 대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각자의 자라온 환경도 다르고, 지적상태나 학습에 대한 태도들이 다른 학생들을 한꺼번에 교육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젊어서는 그런 것들이 문제되지 않았다. 그런 “다름”은 학생들의 “의지나 태도”가 모든 문제의 해결의 답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대가 많이 변했다는 생각이다.… Read More »

내 인생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분은…

오랜만에 보는 사진 한장…이란 글에서 이미 난 이 이야기를 쓴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아침에 생각이 나서 이야기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내 블로그에도, 카카오톡 서명사진에도 늘 “지정의(知情意) 균형잡힌 삶”을 추구한다고 외치고(?) 있다. 그렇게 살기 쉽지 않기에 매순간 내 자신을 가다듬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지정의(知情意) 균형잡힌 삶”에 대한 고민은 중학교 때부터 시작되었다. 지정의(知情意) 이 세글자를 종이에 크게 써서… Read More »

크리스천의 “이웃사랑”(2)-교사편

과연 기독교에서 말하는 ‘이웃사랑’이란 무엇일까? 우리 인간이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표현으로 할 수 있는 최고 또는 최상은 “이웃사랑”이라는 생각이다. 하나님을 사랑한다면서 우리의 이웃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결국 하나님을 사랑하지 않는 것이고, 나아서 기독교에서 가장 강조하는 “믿음” 자체가 없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당신이 교사라면, 수업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최선을 다해 결정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잘 전달하기…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