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2년 사이에 올라온 전주바울교회에 대한 제 글을 보면 누군가 이런 생각을 할지도 모른다. “바울교회 장로라는 사람이 자신이 다니던 교회를 비난해? 부정적으로만 봐?”라고 말이다. 그런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나는 지금도 바울교회를 향한 애통하는 마음이 있다.
내가 계속 문제를 삼는 이유는 , 호남에서 가장 큰 교회(2019-2020년 담임목사 사건으로 많은 교인들이 떠나서 가장 많이 모이는 교회가 아닐 수도 있음.)였던 바울교회가 기독교 정신에서 멀어지고 종교화되고 세속화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가장 불쌍한 것은 일반 성도이다.
그들은 그저 믿음생활을 열심히 하면 천국에 간다고 교육받아 왔다. 따라서 그들은 시간과 정성, 그리고 물질(헌금)로 교회에 헌신한다. 헌금에 대하여 바르게 알려주어도 사실 그들은 이미 세뇌가 되어 있다. “많이 바치면 복 받는다.”라는 기복적 신앙에 말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뜻을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나 생각할 수 있는 시간 조차 없이, 그저 열심히 예배에 참석하고, 헌금생활 열심히 하는 것으로 천국의 소망을 이루려고 한다(아니, 그렇게 세뇌가 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기독교 신앙에 대하여 제대로 가르치지 않은 목사나 교회의 장로들의 책임이 일차적으로 있고, 또한 일반 성도들도 비판적 사고 없이 신앙생활을 하는 것에 대한 책임이 분명히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이 스스로 진리의 길을 찾아야 하는데, 삯꾼들의 잘못된 신앙관을 그대로 따르는 책임이 있는 것이다. 그런 배경에는 “기복적 신앙”이 자리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복음의 본질을 가르치지 않는 목사와 장로 등 교회지도자들은 엄중한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돌이키지 않는 한 계속 비판할 수 밖에 없다.
계속 세속적인 모습을 보이는 한, 바울교회에 대한 비판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마음 한 켠에 갈등이 있다.
‘그렇다고 바울교회가 변할까?’
이런 생각이 들면 ‘그냥 바울교회를 조용히 떠나는 것이 답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가도, “바위에 계란치기라도 해야 한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국의 교회는 미래가 없다.
그것은 나의 생각이 아니라, 많은 종교학자들이 예측하고 있는 말이다. 길게는 20년, 짧게는 10년 뒤에는 눈에 보이도록 한국교회의 쇠퇴가 나타날 것이다. 고령화와 신세대의 인구감소라는 물리적인 현상 이외에 “종교에 대한 무관심”이 현실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전주바울교회는 전주라는 작은 도시에 있지만, 대형교회를 이루다 보니 어느 정도 버틸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다른 교회에 비하여 좀 더 버틴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그만큼 큰 교회는 사회적 책무성을 해야 하는데, 교회 자체를 유지하기에 급급한 상황이 된다면 그것은 이미 교회로서 기능을 상실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울교회는 지금 보여주는 헌금걷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일 것이 아니라, 바울교회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 바울교회가 진정 하나님의 존재와 천국에 대한 소망이 있다면 말이다.
지금의 모습은 결코 기독교와는 거리가 먼 교회라고 단정할 수 밖에 없다.